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271)
비내(備內) - 수레 만드는 일과 관 만드는 일도 이익 때문에 한다 근주의 근심은 사람을 믿는 데서 비롯된다. 사람을 믿으면 그에게 제압당하게 된다. 신하는 군주와 골육의 친분을 맺고 있는 것이 아니라, 군주의 위세에 얽매여 어쩔 수 없이 섬기는 것이다. 따라서 신하된 자는 군주의 마음을 엿보고 살피느라 잠시도 쉬지 못하는데, 군주는 그 위에서 게으름을 피우며 교만하게 처신하니, 이것이 세상에서 군주를 협박하고 시해하는 일이 발생하는 까닭이다. 군주가 자산의 아들을 매우 신뢰하면, 간신들은 태자를 이용해 자신의 사욕을 이루려고 할 것이다. 군주가 자기 부인을 지나치게 신뢰하면, 간신들은 그 부인을 끌어들여 자신의 사욕을 채우고자 할 것이다. 만승지국의 군주나 천승지국의 왕과 후비 혹은 부인 그리고 적자로서 태자로 옹립된 이들 중 간혹 군주가 일찍 죽기를 희망하는 자가 있..
삼수(三守) - 군주가 지켜야할 세 가지 군주에게 세 가지 지켜야 할 것이 있으니, 이 세 가지를 완벽하게 지키면 나라가 평안하고 자신도 영화를 누릴 수 있다. 그러나 세 가지를 완벽하게 지키지 못하면 나라는 위태롭고 자신도 위험해질 것이다. 첫째, 신하가 중요한 일을 담당한 자의 실수나 정책을 주관한 자의 잘못과 명성 있는 신하의 속사정에 대해 논의했는데, 군주가 그 말을 마음속에 담아두지 않고 그 측근이나 총애하는 신하에게 누설한다면, 간언하는 신하들이 감히 측근이나 총애를 누리고 있는 무리들의 마음에 들지 않고서는 위로 군주에게 들려줄 수 없게 될 것이다. 그렇게 되면 정직하고 곧은 말을 하던 신하는 군주를 만나볼 수 없으며, 충성스럽고 정직한 이들은 나날이 군주 곁에서 멀어질 것이다. 둘째, 군주가 자신이 총애하는 사람이 있어도 그에게 ..
망징(亡徵) - 나라가 멸망하는 징조 무릇 군주가 다스리는 나라는 작은데 대부의 봉읍이 크다거나, 군주의 군세는 가벼운데 신하들이 무거우면 그 나라는 망할 것이다. 법에 의한 금령을 소홀히 하면서 음모와 계략에만 힘쓰며, 나라 안의 정치를 어지럽게 하면서 나라 밖의 원조에만 의지하면 그 나라는 망할 것이다. 신하들은 쓸모없는 학문만을 배우려하고, 귀족의 자제들은 논쟁만을 즐기며, 상인들은 재물을 나라 밖에 쌓아두고 백성들은 개인적인 싸움만을 존중하면 그 나라는 망할 것이다. 군주가 궁실과 누각이나 연못을 좋아하며, 거마(車馬)와 의복과 기물 및 노리개에만 관심을 기울여서 백성들을 피폐하게 하고 재물을 모두 써버리면 그 나라는 망할 것이다. 군주가 길한 날을 점치고 귀신을 섬기며, 점술을 믿고 제사 지내기를 좋아하면 그 나라는 망할 것이다. ..
고분(孤憤) - 조정과 관직에 유능한 인사와 깨끗한 관리가 남게 하려면 무릇 현재 법과 술을 행하기 어려운 이유는 만승의 대국에서만이 아니라 천승의 나라에서도 또한 그렇다. 군주의 측근이 반드시 지혜로운 것은 아니다. 군주가 어떤 사람을 지혜로운 자라고 여겨 그의 의견을 듣고 측근의 신하들과 그 의견에 관해 의논한다면, 그것은 어리석은 사람과 함께 지혜로운 사람을 평가하는 것이다. 또한 군주의 곁에는 현명한 사람만 있는 것은 아니다. 군주가 어떤 사람을 현명한 사람이라고 생각해서 그를 예우하려고 할 때 측근의 신하들과 함께 그의 행실을 의논한다면, 이것도 현명하지 못한 자와 더불어 현명한 자를 평가하는 것이다. 지혜로운 사람의 의견이 어리석은 자들에 의해 결정되고, 현명한 자의 품행이 현명하지 못한 자들에 의해 평가받게 되면, 현명하고 지혜로운 자들이 치욕을 당할 것이고, ..
십과(十過) - 패망하는 군주의 열 가지 잘못 군주와 관련된 열 가지 잘못이란 다음과 같다. 첫째, 작은 충성을 행하면 큰 충성을 해칠 수 있다. 둘째, 작은 이익을 탐하면 큰 이익을 해칠 수 있다. 셋째, 행동이 편협하고 방자하며 제후들에게 무례하면 몸을 망치는 지경에 이를 것이다. 넷째, 정무를 돌보는 데에 힘쓰지 않고 음악만을 좋아하면 곤궁한 상태에 빠질 것이다. 다섯째, 탐욕스럽고 집요하게 재물을 좋아하면 나라를 멸하게 하고 목숨을 잃는 근본이 된다. 여섯째, 무희들의 여악에 빠져 국정을 돌보지 않으면 나라를 잃는 화가 닥칠 것이다. 일곱째, 궁궐을 떠나 먼 곳까지 유람하며 간언하는 신하를 소홀히 대하면 몸이 위태로운 지경에 이를 것이다. 여덞째, 잘못이 있으면서도 충신의 말을 듣지 않고 제멋대로 행동하면 높은 명성을 잃고 남의 비웃음을 사기..
팔간(八姦) - 나라를 망하게 하는 풍조들 현명한 군주가 벼슬자리와 작위와 봉록을 만든 까닭은 현명한 인재를 선발하고 공을 세운 자들을 돌겨하기 위해서이다. 현명한 자에게 벼슬자리를 줄 때에는 그 능력을 헤아려보고, 봉록을 수여할 때는 그 공적에 맞게 행하여야 한다. 이 때문에 현명한 자는 능력을 속이지 않고 자신의 군주를 섬기며, 공로가 있는 자는 자기의 공적을 기꺼이 군주에게 바치므로, 일이 이루어지고 공적이 세워지게 된다. 그러나 지금은 그렇지 않다. 현명한지 아닌지를 따져보지 않으며 공로가 있는지를 논의하지도 않는다. 제후들이 중시하는 자라 등용하고, 측근 신하들의 청탁이라고 하여 들어준다. 부형과 대신들은 위로는 군주에게 작위와 봉록을 요청하고, 아래로는 이것을 팔아 재물을 모은다. 심지어는 사사로이 패거리를 만드는 지경에 까지 이르렀다..
꾸중을 들을 줄 아는 조직, 나무랄 줄 아는 조직 기업이든 개인이든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계속해서 채찍질해줄 수 있는 누군가 즉, 끊임없이 동기 부여를 해주거나 실패했을 때도 다시 일어설 수 있도록 치유해주는 존재가 있어야 한다. 자신의 생각대로 일이 풀리지 않았을 때에도 다시 마음을 다잡아 그 일에 정진할 수 있도록 북돋우는 에너지를 가진 사람들이다. 호통이란 일상에서의 실패 경험이다. 크고 작은 자극을 받았을 때 그것 때문에 주눅 들거나 회의에 빠져드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통해 발전할 수 있는 사람 꾸중도 들을 줄 알고 아랫사람을 제대로 나무랄 줄 아는 사람을 키우기 위함이다. 조직에서 성과를 내며 마지막까지 살아남는 사람은 공통의 성향이 있다. 그리고 그런 성향을 가진 인재는 처음부터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기업의 문화나 풍토를 통해 만들어진..
짬밥이 실력이라는 생각을 버려라 이 사회에서 모든 것이 경험과 연차 순, 소위 말하는 짬밥 순으로 정해진다면 드라마는 생겨날 여지가 없을 것이다. 조직이 무조건 짬밥이 실력이라는 식으로 직원을 평가한다면, 유능한 인재는 떠나게 되어 있다. 경험자 = 일할 줄 아는 사람이라는 생각이 굳어진다면, 조직에는 곧 전신 마비가 온다. 그런 믿음을 가진 조직 안에서 누가 새로운 시도를 하려고 애쓰겠는가 특채로 인재나 경력자들을 찾아 스카우트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우수한 인재가 떠나지 않고 조직의 든든한 밑바탕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직원들은 각자 커리어를 쌓고 책임과 권한을 행사하며, 기업은 그들에게 제대로 된 보상을 해주어야 한다. 우수한 인재가 떠난다는 것은 곧 기업의 붕괴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과거의 성적이 미래의 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