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방의 적국들과 전쟁하는 나라는 방어해서 지키는 전쟁을 귀하게 여긴다.
바다를 등지고 있는 나라는 공격하는 전쟁을 귀하게 여긴다.
사방의 적국들과 전쟁하는 나라가 군대를 일으키는 일을 좋아해서 사방의 이웃 나라들과 다투면 나라는 위태로워진다.
사방의 이웃한 나라들이 한 방면으로만 군대를 일으켜도 자기 스스로는 사방에서 군대를 일으키는 것이기 때문에
나라가 위태로워진다고 말하는 것이다.
사방의 적국들과 전쟁하는 나라가 1만 호의 고을로도 수만의 군대를 주둔시킬 수 없다는 것은
그 나라가 위태롭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사방의 적극들과 전쟁하는 나라에서 힘쓸 일은 방어해서 지키는 전쟁에 있다고 말하는 것이다.
성곽으로 둘러싸인 고을을 수비하는 것은 기진맥진한 힘으로 쳐들어온 적군들의 생동하는 힘과 전쟁하는 것만 못하다.
성곽을 공격하기 어려운 것은 힘을 빼놓기 때문이다.
쳐들어온 적군들이 성곽을 파괴하지 못하는 것은 쳐들어온 적군들이 따라 들어오지 않아서다.
이것을 일컬어 지키려고 기진맥진한 힘으로 쳐들어온 적군들의 생동하는 힘과 전쟁한다고 하는 것이다.
성곽이 다 파괴되어 쳐들어온 적군들이 따라 들어오게 되면 쳐들어온 적군들은 반드시 피로해지고
성안의 사람들은 반드시 편안해진다.
편안한 힘과 피로한 힘이 전쟁을 하니 이것을 생동하는 사람의 힘과
쳐들어온 적군들의 기진맥진한 힘이 전쟁한다고 말하는 것이다.
모두가 말하길 성을 포위할 때 걱정거리는 성안의 사람들이 죽을 힘을 다하지 않음이 없다는데 있다.
이 세 가지는 걱정하기에 부족하지 않고 장수의 잘못이다. 성을 지키는 방법은 백성의 힘을 모으는 것이다.
그러므로 쳐들어온 적군들이 공격하면 군적과 문서를 정리해서 삼군의 수를 정하고
쳐들어온 적군의 척후 전차의 숫자대로 나눈다.
삼군은 장성한 남자들이 1군을 이루고 장성한 여자들이 1군을 이루며 남녀 노약자들이 1군을 이루는데
이것을 삼군이라고 말한다.
장성한 여자들의 군대는 식량을 휴대하고 진지를 쌓을 흙을 짊어지고 진열을 갖추어 적을 기다린다.
쳐들어온 적군들이 다다르면 땅을 험한 지형을 바꾸어놓고 또 자작나무 목책으로 함정을 만들어
들보를 뽑아 집을 철거해버리고 옮길 수 있는 것은 옮겨놓는다.
다 옮겨놓을 수 없으면 불질러서 쳐들어온 적들로 하여금 공격을 준비하는데 도움이 될 수 없도록 한다.
노약자들의 군대에 소, 말, 양, 돼지를 기르게 해서 풀과 물로 먹일 수 있는 것들은 거두어 먹여
장성한 남녀의 식량을 획득한다.
삼군으로 하여금 서로가 왕래가 없도록 삼가게 해야 한다.
장성한 남자들이 장성한 여자들의 군대에 왕래하면 남자가 여자를 귀하게 여기게 되고
간사한 백성이 모략을 꾸밀 기회를 가지게 되어 나라는 멸망한다.
기쁨과 두려움은 미리 소문을 만들어 용감한 백성조차 전쟁하지 않으려 한다.
장성한 남자와 장성한 여자들이 노약자의 군대에 왕래하면 노인들은 장성한 청년들로 하여금 비통함을 느끼게 하고
약한 자들은 강한 자들로 하여금 연민을 느끼게 하니 비통함과 연민이 마음에 있으면
용감한 백성조차 근심 걱정하게 하고 겁먹은 백성은 전쟁하지 않는다.
그래서 삼군으로 하여금 서로 왕래가 없도록 삼가게 하라고 말하는 것이며, 이것이 힘을 모으는 방법이다.
'History > 202103_상군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권(修權) - 권세를 닦다 (0) | 2021.02.24 |
---|---|
근령(靳令) - 신중하게 명령하다 (0) | 2021.02.24 |
입본(立本) - 근본을 세우다 (0) | 2021.02.24 |
전법(戰法) - 전쟁을 하는 법 (0) | 2021.02.24 |
조법(錯法) - 법을 꾸미다 (0) | 2021.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