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istory/202103_상군서

근령(靳令) - 신중하게 명령하다

법령을 엄격히 하면 다스림이 지체되지 않고 법이 공평하면 관리는 간사함이 없다.

법이 이미 정해져 있으면 듣기 좋은 말로 꾸며도 법을 해칠 수 없다.

공적으로 관리를 임용하면 백성은 말을 적게하고 선행으로 관리를 임용하면 백성은 말이 많아진다.

법을 실행해 공적과 죄를 처단하는데 5개 마을마다 처단하게 하면 왕 노릇하고 

10개 마을마다 처단하게 하면 강성해지며, 그날 하루를 묵혀 다음 날까지 변결해 다스리는 나라는 쇠약해진다.

형벌로 나라를 다스리고 보상으로 백성을 전쟁하게 하면 과실에 대한 책임을 요구할 뿐 선행을 요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법이 세워져도 바꾸지 않으면 지위가 높은 백성은 그 간사한 계략으로 법을 바꾸어 버린다.

간사한 계략으로 법을 바꾸려는 계획을 그치게 하고 책임있는 사람과 상인들을 각기 다르게 부리며

모든 도읍의 존귀한 작위와 두터운 녹봉은 스스로의 공적으로 하도록 한다.

나라의 간사한 백성이 없으면 도음에 간사한 매매행위가 없다.

진귀하고 음란한 물건이 많아 상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농사짓는 일은 게을러지며 

간사함이 이기면 나라는 반드시 쇠약해진다.

그래서 백성이 남아도는 식량을 가지고 있으면 곡식으로 관직과 작위를 내준다.

관직과 작위가 반드시 그 노력으로 얻는 것이면 농사짓는 일은 나태해지지 않는다.

네 치의 빈 대롱에 밑바닥이 없으면 반드시 물이 가득차지 못하는 법이다.

공적으로 관직을 주고 작위를 주며 녹봉을 내주는 것이 아니면 이것은 밑바닥이 없는 셈이다.

 

나라는 가난해도 전쟁에 힘쓰면 나라 안에 쌓여있는 독소가 적에게서 생겨나고 여섯 가지 좀벌레 같은 일들이 없으니

반드시 강성해진다.

나라가 부유해도 전쟁하지 않으면 탐욕이 안에서 생겨나서 여섯 가지 좀벌레 같은 일들이 있으니 반드시 약해진다.

나라에서 공적으로 관직을 주고 작위를 주는 것을 백성의 지모를 길러서 아주 용감하게 싸우게 한다고 말한다.

아주 용감하게 싸우게 하고 백성의 지모를 길러주면 그 나라는 반드시 적수가 없다.

나라에서 공적으로 관직을 주고 작위를 주면 다스림은 분명하고 자세해지며 말 나오는 것이 적어진다.

이것을 법으로 법을 제거하고 말로 말을 제거한다고 말한다.

나라에서 여섯 가지 좀벌레 같은 일로 관직을 주고 작위를 주면 다스림이 번잡해지고 말들이 생겨난다.

이것을 법으로 법을 불러오고 말로 말을 불러온다고 말한다.

그러면 군주는 유세하는 말에 힘쓰고 관리는 사악한 통치에 혼란스러워 한다.

사악한 신하가 뜻을 얻을 수 있고 공적있는 사람들은 날마나 쇠퇴하니 이것을 지키는데 실패했다고 말한다.

열 가지 원칙을 지키는 나라는 어지러워지고 농사와 전쟁 한 가지 원칙을 지키는 나라는 다스려진다.

법이 이미 정해졌는데도 여섯 가지 좀벌레 같은 일을 쓰기 좋아하는 나라는 멸망한다.

백성이 농사짓기를 끝까지 마치면 나라는 부유해진다.

여섯 가지 좀벌레 같은 일이 쓰이지 않으면 병사들과 백성은 마침내 서로 격려하기를 다투면서

군주를 위해 쓰이는 것을 즐거워 한다. 그 나라 안의 백성은 이렇게 다투는 일을 영광으로 삼고 모욕으로 삼지 않는다.

그 다음으로 백성은 보상으로 격려받고 처벌로 그치게 된다. 

그 마지막은 백성이 싫어하고 걱정하며 수치스러워하는 것이다.

외모를 다듬고 말하는 것에만 종사하며 밥 빌어먹는 것을 부끄러워해서 윗사람과 교제하고 찬양하며

농사와 전쟁을 회피하고 외국과 교제하는 것으로 풍속이 만들어지면 나라의 위태로움이다.

굶주림과 추위로 죽게 되어도 이익과 녹봉의 이유로 전쟁하지 않으려 하는 것은 망하는 나라의 풍속이다.

 

여섯 가지 좀벌레는 예의와 음악, 시와 서, 수양과 선행, 효성과 우애, 성실함과 믿음, 정절과 염치, 어짊과 의로움,

군대가지 않는 것, 전쟁을 부끄러워하는 것을 말한다.

나라에 이 열두 가지가 있으면 윗사람은 백성에게 농사와 전쟁을 시키지 못하고 반드시 가난해져 쇠약해지는데 이른다.

열두 가지가 무리를 이루면 이것을 일컬어 군주의 통치가 그 신하를 이기지 못하고

관리의 통치가 그 백성을 이기지 못한다고 한다. 이것을 일컬어 여섯 가지 좀벌레가 그 정치를 이긴다고 한다.

그렇기 때문에 흥성하는 나라는 이 열두 가지를 쓰지 않는다. 

따라서 그 나라라는 힘이 넘치고 천하의 어느 누구도 침범할 수 없다.

군대가 출정하면 반드시 승리를 취하고 승리를 취하면 반드시 영토를 얻는다.

군대를 움직이지 않고 공격하지 않아도 반드시 부유해진다.

조정의 관리들은 공적이 ㅈ거어도 헐뜯지 않고 공적이 많아도 피해를 입지 않으며 공적에 따라 관직과 작위를 얻으니

비록 변설을 잘해도 이것으로 관직과 작위를 구할 순 없다. 이것을 일컬어 술수로 통치한다고 한다.

힘으로 공격하는 나라는 하나를 내어주고 열을 취하며 변설과 말로 공격하는 나라는 열을 내어주고 백을 잃는다.

나라가 힘을 선호하는 이것을 일컬어 어려운 것으로 공격한다고 하며

나라가 변설과 말을 선호하는 이것을 일컬어 쉬운 것으로 공격한다고 한다.

 

형벌을 무겁게 하고 보상을 적게하는 것은 윗사람이 백성을 사랑해서이고 백성도 윗사람을 위해 죽으려 해서다.

보상을 무겁게 하고 형벌을 가볍게 하는 것은 윗사람이 백성을 사랑하지 않아서이고

백성도 윗사람을 위해 죽으려고 하지 않아서다.

이익이 한 가지 구멍에서 나오는 나라는 적이 없고 이익이 두 가지 구멍에서 나오는 나라는 이익이 절반에 불과하고

이익이 열 가지 구멍에서 나오는 나라는 지키지 못한다.

형벌을 무겁게 하는 것은 나라의 큰 제도를 밝히는 거싱고 제도를 밝히지 못하는 것은 여섯 가지 좀벌레 때문이다.

여섯 가지 좀벌레가 무리를 이루면 백성이 군주를 위해 쓰이지 못한다.

그러므로 흥성하는 나라는 형벌을 실행하면 백성이 윗사람과 친밀해지고 보상을 실행하면 백성이 이로움을 얻는다.

형벌을 다하는데 그 가벼운 죄를 무겁게 처벌하면 가벼운 죄는 다시는 범하짐 못하고 무거운 죄는 다시는 오지 않는다.

이것을 일컬어 형벌로 형벌을 없앴다고 하는데 형벌이 없어져도 일은 이루어진다.

무거운 죄에 가벼운 형벌을 내리면 형벌이 지극해도 일이 발생한다.

이것을 일컬어 형벌로 형벌을 불러온다고 하는데 그 나라는 반드시 쇠약해진다.

 

성군은 사물의 요체를 알고 있기 때문에 그 백성을 다스리는 데도 가장 요체만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보상과 형벌을 손에 쥐고 하나의 기준으로 어진 자를 돕는 것은 성군의 마음이 백성과 이어져서다.

그렇기 때문에 성군의 사람 다스리는 방법은 반드시 그 사람의 마음을 얻기 때문에 그 사람의 힘을 이용할 수 있다.

힘은 강성함을 낳고 강성함은 위세를 낳고 위세는 덕을 낳으니 덕은 힘에서 생긴다.

성군만이 홀로 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천하에 인의를 전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