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R/202012_채용이 전부다

인간의 눈은 불완전하다 - 면접관이 저지르기 쉬운 오류들

채용에는 두 종류가 있다.

하나는 회사에 들어오고 싶어 난리인 사람들 중에서 골라내는 것,

또 하나는 회사에 별 관심은 없지만 회사에서 하도 원하니까 부담없이 구경삼아 온 사람을 잡는 것이다.

 

전자인 경우나 신입사원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걸러내는 작업에 초점을 맞춘다.

하지만 후자의 경우라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피면접자는 인터뷰하는 사람을 보면서 회사를 판단한다. 찌질한 사람이 말도 안되는 질문을 던지면 피면접자는 즉시 마음을 접는다.

속으로 이 회사는 이정도 밖에 되지 않는구나 라고 생각하게 된다.

 

인터뷰는 글자 그대로 서로 보는 것이다. 서로 바라보고 묻고 알아가면서 궁합을 확인하는 과정이다.

이력서가 연애편지라면 면접은 맞선이다.

한쪽이 갑이고 다른 한쪽이 을인 것이 아니라 서로를 보면서 궁합이 맞을지 판단하는 자리다.

핵심인재일수록 교섭권은 피면접자에게 있다. 그럴 때는 면접자가 피면접자에게 회사를 팔아야 한다.

회사에 들오오도록 설득하고 납득시키고 구애를 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인터뷰에 누구를 내보낼지, 그 사람을 얼마나 훈련시켜 내보낼지 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고의 후보자를 얻기 위해서는 최고의 패를 보여야 한다.

 

인터뷰에서 가장 큰 착각은 뽑는 사람이 갑이라는 생각이다. 인터뷰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상호존중이다.

일방적 인터뷰는 인터뷰가 아니라 취조가 될 수 있다.

분위기가 딱딱하고 억압적이면 제대로 된 인터뷰를 하기 어렵다. 자신을 드러내기도 어렵다.

그래서 면접은 중요한 만큼의 함정을 내포하고 있기도 하다.

 

채용절차 중 사람을 만날 때 그것을 면접이라고 부르지 말고 채용 전 지식교환이라고 불러야 한다.

명칭을 바꾸는 것만으로도 나쁜 면접습관을 버리고, 그 만남을 정보교환의 장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면접관의 일방적인 방송으로 끝날 일도 없게 된다.

 

채용의 가장 유용한 수단은 면접이다. 면접은 훌륭한 인재선발 수단이다.

면접이 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면접관 역시 면접에 대한 교육을 받아야 한다.

그 가운데서도 면접에서의 평가 오류를 방지하는 것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인간의 눈은 불완전하기 때문이다.

 

면접관들을 현혹시키는 것들은 무엇일까?

첫째, 후광효과다. 평가오류의 대표선수다.

한 두 가지 긍정적 정보를 가지고 다른 미확인 정보도 역시 그를 것이라 미루어 짐작하는 것을 말한다.

출신 학교가 대표적이다. 명문 대학을 나왔다는 이력서만 보고 다른 것도 다 괜찮을 걸로 생각한다.

아버지가 대기업 사장이라거나 의사라는 이유로 좋은 집안에서 자란 능력있는 사람일 것이라고 지레짐작한다.

정말 조심해야 한다. 이는 브랜드만 보고 품질을 확인하지도 않고 상품을 구매하는 것과 같다.

 

둘째, 낙인효과다. 후광효과의 반대개념으로, 부정적인 정보가 확인되지 않은 다른 정보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셋째, 외모에 현혹되는 것이다.

외모를 무시할 수는 없다. 하지만 외모만 본다든지, 외모에 지나치게 비중을 두는 것은 위험하다.

인물은 멀쩡하지만 무능한 사람도 많기 때문이다.

외모의 영향력은 면접 시간이 짧을수록, 면접 경험이 부족할수록, 면접이 구조화되어 있지 않을수록 크다.

 

넷째, 말솜씨다. 말을 못하는 것보다는 잘하는 것이 좋다.

하지만 말을 잘한다고 반드시 일을 잘하는 것은 아니다. 말만 앞서고 행동이 따르지 않는 사람을 조심해야 한다.

 

다섯째, 공유특성의 현혹이다. 사람들은 자신과 비슷한 사람에게 끌리게 되어 잇다.

자신과 공통점이 많은 사람에게 자신도 모르게 후한 점수를 주는 것을 의미한다.

 

면접에서의 현혹과 오류를 피하는 길은 면접의 구조화에 있다. 구조화란 정교하게 준비하는 것을 의미한다.

어떻게 면접 준비를 할 것인지, 혼자 할 것인지 같이 할 것인지,

사무실에서만 할 것인지 아니면 장소를 옮겨다니면서 할 것인지, 질문은 어떻게 할 것인지,

세세한 사항을 준비하는 것이다.

구조화하게 되면 평가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잇다.

 

말은 따뜻하게 하되 냉정하게 해야 한다. 지원자의 말보다는 속마음을 읽어야 한다.

평가의 단서나 정보 중 가장 믿을 수 없는 것이 말이다. 말은 거짓이기 쉽기 때문이다.

하지만 사람의 행동은 마음대로 통제가 되지 않는다. 얼굴 표정은 모르는 사이에 속마음을 언뜻언듯 내보인다.

보디 랭귀지도 그렇다. 말보다 중요한 것은 말을 할 때의 표정이나 보디 랭귀지다. 그런 것들을 읽을 수 있어야 한다.

 

채용의 실패 이유 10가지는 다음과 같다.

정확히 어떤 사람을 채용할지 모른다.

인터뷰 준비를 제대로 하지 않았다.

인터뷰어로서 부적절한 질문을 했다.

너무 빨리 채용을 결정했다.

후광효과 때문에 잘못된 사람을 채용했다.

당신과 비슷한 사람을 채용햇다.

비현실적인 기준을 제시했다.

한 사람만 인터뷰했다.

인터뷰 프로세스가 없었다.

평판조사를 게을리 했다.

 

사기꾼은 대개 인상이 좋고 말이 번지르르하다. 짧은 시간 내애 사람들의 호삼을 산다.

그래야 사기를 칠 수 있기 때문이다.

사기를 당한 사람들은 그 사람이 사기꾼일 거란 생각을 꿈에도 하지 않는다.

오류를 방지하려면 사람을 대상으로 임상과 연구를 계속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