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istory/202102_한비자

삼수(三守) - 군주가 지켜야할 세 가지

군주에게 세 가지 지켜야 할 것이 있으니,

이 세 가지를 완벽하게 지키면 나라가 평안하고 자신도 영화를 누릴 수 있다.

그러나 세 가지를 완벽하게 지키지 못하면 나라는 위태롭고 자신도 위험해질 것이다.

 

첫째, 신하가 중요한 일을 담당한 자의 실수나 정책을 주관한 자의 잘못과 명성 있는 신하의 속사정에 대해 논의했는데,

군주가 그 말을 마음속에 담아두지 않고 그 측근이나 총애하는 신하에게 누설한다면,

간언하는 신하들이 감히 측근이나 총애를 누리고 있는 무리들의 마음에 들지 않고서는

위로 군주에게 들려줄 수 없게 될 것이다.

그렇게 되면 정직하고 곧은 말을 하던 신하는 군주를 만나볼 수 없으며,

충성스럽고 정직한 이들은 나날이 군주 곁에서 멀어질 것이다.

 

둘째, 군주가 자신이 총애하는 사람이 있어도 그에게 독단적인 이익을 주지 못하고,

누군가 칭찬하기를 기다린 뒤에 그에게 이익을 주고,

또 자신이 미워하는 사람이 있어도 독단적으로 해로운 조치를 취하지 못하고,

누군가 비난하기를 기다린 뒤에 그를 해치면,

군주는 위엄이 없어지게 되고 권세는 좌우 신하들의 손안에 들어가게 된다.

 

셋째, 군주 자신이 직접 국정을 돌보는 수고로움은 싫어하여

신하들로 하여금 권세부리는 일에 수레바퀴 달려오듯 하게 한다면,

백성을 죽이거나 살릴 수 있는 권한과 상과 벌을 움직이는 실권이 대신들의 손아귀에 들어가게 된다.

 

이럴 경우 군주는 침해받게 되니, 이를 가리켜 세 가지 지킬 것이 완벽하지 못하다고 하는 것이다.

세 가지 지킬 것이 완벽하지 않다는 것은 군주가 협박당하고 피살당하게 될 징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