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istory/202102_한비자

고분(孤憤) - 조정과 관직에 유능한 인사와 깨끗한 관리가 남게 하려면

무릇 현재 법과 술을 행하기 어려운 이유는 만승의 대국에서만이 아니라 천승의 나라에서도 또한 그렇다.

군주의 측근이 반드시 지혜로운 것은 아니다.

군주가 어떤 사람을 지혜로운 자라고 여겨 그의 의견을 듣고 측근의 신하들과 그 의견에 관해 의논한다면,

그것은 어리석은 사람과 함께 지혜로운 사람을 평가하는 것이다.

또한 군주의 곁에는 현명한 사람만 있는 것은 아니다.

군주가 어떤 사람을 현명한 사람이라고 생각해서 그를 예우하려고 할 때 측근의 신하들과 함께 그의 행실을 의논한다면,

이것도 현명하지 못한 자와 더불어 현명한 자를 평가하는 것이다.

 

지혜로운 사람의 의견이 어리석은 자들에 의해 결정되고,

현명한 자의 품행이 현명하지 못한 자들에 의해 평가받게 되면,

현명하고 지혜로운 자들이 치욕을 당할 것이고,

군주의 판단도 어극나게 될 것이다.

 

신하가 벼슬자리를 얻으려고 할 때 수양을 닦은 인사는 그 정결함으로 자신을 굳건히 하려고 하고,

지혜로운 선비는 판단력을 발휘하여 일에 나아가며 뇌물로서 사람을 섬기지 않으니,

자신의 정결함으로 믿음으로 판단력을 발휘하여 더욱이 법을 왜곡시킴으로서 다스림으로 삼지 않는다.

수양을 닦은 지혜로운 인사는 군주의 측근을 섬기지 않고 사사로이 청탁도 들어주지 않는다.

 

그러나 군주의 주변에 있는 신하들은 품행이 백이와는 달라서 요구하는 것도 얻을 수 없고,

뇌물을 받지 못하면 정결함과 판단력이라는 공은 없어지고, 비방과 모함의 말만 생겨나게 된다.

판단력을 발휘하여 처리한 공이 측근들에 의해 제어되고 정결한 품행이 비방이나 칭찬에 의해 결정되면,

수양을 닦거나 지혜로운 관리들이 없어지고 군주의 명석함은 막히게 될 것이다.

 

공적을 가지고 지혜와 품행을 결정하지 않으며,

사실 조사를 거쳐 죄와 허물을 심리하지 않고 군주 주변 측근들의 말만 따르면,

무능한 인사들만 조정에 있을 것이고,

벼슬자리에는 어리석고 타락한 벼슬아치들만 앉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