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istory/202103_상군서

군신(君臣) - 임금과 신하

옛날 군주와 신하, 위와 아래의 구분이 없을 때, 백성이 문란해져서 다스려지지 않았다.

그래서 성인은 귀천을 구별하고 작위를 제정하고 이름과 호칭을 세웠으니 이로써 군주와 신하,

위와 아래를 구별하는 이치가 생겼다.

땅은 넓어지고 백성은 많아졌으며 만물이 번성했기에 성인은 다섯 관직을 나누어 지키게 했다.

백성이 많아지니 간사함이 생겼고, 그래서 법과 제도를 세우고 헤아리고 저울질하는 것을 만들어 금지했다.

그렇기 때문에 군주와 신하의 올바름, 다섯 관직의 직분, 법과 제도의 금지함이 생겨나고

이로 말미암아 신중해지지 않을 수 없었다.

군주에 자리에 있으면서도 명령이 행해지지 않으면 위태로워지고

다섯 관직을 구분했는데도 분명히 정해진 직분이 없으면 혼란스러워지며

법과 제도를 설치했는데도 사사롭게 선행을 하면 백성은 형벌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군주가 존경받으면 명령은 실행되고 관직이 분명하면 각각 정해진 업무가 분명해지며

법과 제도가 명확하면 백성은 형벌을 두려워한다.

법과 제도가 분명하지 않은데도 백성이 명령을 따르도록 요구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백성이 명령을 따르지 않는데도 군주를 존경하도록 요구하면 비록 요임금과 순임금의 지혜로도 다스릴 수 없다.

밝은 왕의 천하 다스리는 방법은 법에 따라 다스리고 공적을 살펴 보상하는 것이다.

무릇 백성이 전쟁을 빨리 끝내려고 죽음을 피하지 않는 것은 작위와 녹봉을 얻기 위함이다.

밝은 군주의 나라 다스리는 방법은 병사들이 목 벤 머리와 포로를 잡아 온 공적이 있으면

반드시 그 작위는 영예를 충족할 정도이고 녹봉은 먹고살기 충분하도록 한다.

농민이 자기 집을 떠나지 않는 것은 두 양친을 부양할 수 있고 군대에 수레와 말을 지급할 수 있어서다.

그러므로 군사는 죽음으로 절개를 지키고 농민 또한 안락함을 탐하지 않는다.

 

오늘날 세상의 군주들은 그렇지 않다.

법을 버리고 지혜로움으로 공적을 위배하고 영예로움으로 하니 군사들은 싸우려 하지 않고

농민들은 떠돌아다니고 옮겨 다닌다.

상앙이 듣건대, 백성을 이끄는 관문은 윗사람이 먼저하는 바에 있다고 한다.

그러므로 백성에게 농사와 전쟁을 명령할 수 있고 떠돌아다니며 벼슬하는 신하에게 명령할 수 있으며

학문할 것을 명령할 수 있는 것은 윗사람이 보상을 주는 바에 있다.

윗사람이 공적과 수고로움으로 보상을 주면 백성은 전쟁을 한다.

윗사람이 시와 서로 보상을 주면 백성은 학문을 한다.

백성에게 이익이란 마치 물이 아래로 흐르는 것과 같으니 사방 어디도 가리는 것이 없다. 

백성은 오로지 이익을 얻을수만 있다면 행하는 자들이니 윗사람이 보상을 주는데 달려있다.

눈을 부릅뜨고 팔을 걷어붙이면서 용맹함을 말하는 자가 이익을 얻거나 

저고리와 바지를 늘어뜨리고 말만 늘어놓는 자가 이익을 얻거나

공적인 일에는 날을 지체하면서 오랜 동안 개인 가문을 위해 노력하는 자가 이익을 얻거나 하면

세 부류를 향한 존경으로 말미암아 공적이 없음에도 모두가 이익을 얻을 수 있다.

그러면 백성은 농사와 전쟁을 버리고 이익을 위해 일하게 되고,

혹은 말을 늘어놓거나 의론만 하면서 이익을 찾거나 혹은 편벽하게 군주를 섬기고서 이익을 요청하게 되거나

혹은 용감하게 싸워 이익을 얻으려 할 것이다.

따라서 농사와 전쟁을 하는 백성은 날마다 줄어들고 떠돌아다니며 밥 빌어먹는 자가 더욱 많아지면

나라는 어지러워지고 땅은 깎이며 군대는 약해지고 군주는 비루해진다.

이것이 그렇게 된 바는 군주가 법과 제도를 버리고 명성과 영예만을 채택해서다.

 

그러므로 밝은 군주는 법과 제도를 신중히 한다.

말이 법도에 들어맞지 않는 것은 듣지 않고 행동이 법도에 들어맞지 않는 것은 숭상하지 않으며

일이 법도에 들어맞지 않는 것은 하지 않는다.

말이 법도에 들어맞으면 경청하고 행동이 법도에 들어맞으면 숭상하며 일이 법도에 들어맞으면 행한다.

따라서 나라는 다스려지고 땅은 얿어지며 군대는 강성해지고 군주는 존귀해지니

이것이 다스림의 지극함이어서 군주 된 자는 잘 살피지 않을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