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293)
직장에서의 바람직한 관계수립을 위한 환경 갈등이 없고, 적절한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모두가 윈-윈 할 수 있는 직장 환경 업무가 적절하게 분배되고 있어서 업무처리에 문제가 없으며, 배려할 줄 알고 자극이 되는 동료와 공감능력을 갖춘 상사
피해자가 되는 과정 1차 피해자화 - 직업적 행위와 직접적으로 관련해 피해가 발생하는 경우 - 중요한 자료 강탈, 부당한 비난, 직접적인 괴롭힘 등 2차 피해자화 - 피해자에게 죄의식을 주입하려고 사회적, 직업적 환경을 조성하는 것 - 피해자 비난하기 : 문제의 원인을 피해자에게 돌리는 것 - 주변 환경의 무관심과 순수함을 의심하는 태도와 주변 사람들이 피해자를 멀리하는 태도 3차 피해자화 - 모욕당한 이에게 피해자의 역할이 주입되는 것 - 자기최면적 예언의 위험성 주의 - 비판적인 동료나 에너지를 빼앗아 가는 사람들에 맞서 적절하게 방어해야 한다. - 감정의 목줄을 아주 타이트하게 잡고 있어야 한다.(지나치게 잘해주면 안 된다.)
일기쓰기 일기를 쓰는 이유 - 복잡한 생각을 정리 - 인생의 방향을 설정 일기쓰기에 실패하는 이유 - 귀찮음 어디에 일기를 써야 할까? - A5 크기 추천 - 노트 : 하루 일과, 미래구상 - 다이어리 : 목표달성 일기를 쓰는 방법 1) 글을 잘 써야 한다는 강박관념을 버리자 - 본인의 생각을 진솔하게 쓰자, 2) 시간과 장소를 분명하게 기입하자 3) 부정적인 단어보다는 긍정적인 단어를 쓰자 - 긍정적인 생각에서 긍정적인 행동과 결과가 나온다. 4) 매일 실천해야 할 삶의 목표를 기록하자 - 방황할 때 방향을 찾아주고, 더 나은 방법을 생각나게 만든다. 5) 일기쓰기로 생각의 빅데이터를 형성하자. - 사소한 일상이 모이면 생각의 빅데이터가 생기고, 이를 분석할 수 있다.
생각정리스피치 5단계 프로세스 대상과 목적 분석 : 누구에게 왜 말하는지 생각하라(청중분석) 1) 청중이 누구인지 구체화시켜라 - 대상과 집단의 지적수준이 모두 다르며, 관심사나 목적이 다르다. 2) 청중에게 필요한 메시지를 전달하라 - 대상에게 왜 스피치를 전해야 하는지 목적을 파악해야 한다. - 목적을 파악한다는 것은 청중이 당신의 스피치를 들어야 한다는 이유를 생각해보는 것이고, 장소나 행사의 취지를 미리 살펴보는 것이다. 주제 선정 : 무엇을 말하고 싶은지 주제를 정하라 - 정하고 싶은 한마디를 정하라. - 주제를 찾는 단계에서는 아이디어를 최대한 많이 생각해서 기록해두자 질문 나열 : 질문을 나열하여 줄거리를 정리하라. - 질문을 다양한 각도에서 나열하고, 순서를 정리한다. - 내가 말하고 싶은 순서와 상대방이 중금해하는 순..
독서정리스킬 독서 전 독서 - 책의 전체상을 이해 - 표지 -> 저자 -> 머리말 1) 제목에 대해 질문하기 2) 무지함과 마주하기 - 질문에 대해 답변하는 것은 책을 읽어야 한다는 필요성을 인식 3) 표지에서 답을 추론하기 - 핵심 키워드를 살펴보면서 책의 전체상을 그려보자 독서 중 독서 - 내용 파악 - 목차 -> 내용 -> 정리 1) 목차가 구성되는 원리 - 질문 -> 항목 -> 목차 2) 목차를 기억하는 방법 - 항목을 연관짓고 줄거리를 만들어 기억하자 - Why -> How 3) 핵심을 파악하는 방법 - 항목 이면에 숨어있는 핵심 질문을 찾아야 한다. 4) 검색하듯이 내용을 찾자 - 궁금함을 갖고 책의 내용을 찾아본다면 오랫동안 기억에 남을 수 있다. - 목차를 보며 궁금한 내용을 찾아가듯 읽자 - 목차에 ..
기획서 작성법 기획서는 한 페이지로 완성하라 - 읽고 알아볼 것이 아니라 보는 즉시 알아볼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 - 1페이지 까지 생각의 틀 필수항목 - 무엇을 : 어떤 기획인가? - 왜 : 배경, 목적, 목표 - 어떻게 : 비용, 세부계획 - 기대효과 : 얻는 효과 구성항목 - 제목 : 포괄하는 키워드 - 핵심내용 : 무엇을 말하고 싶은가? - 기획배경 : 배경은 무엇인가? - 목적 : 무엇을 얻는가? - 목표 : 얻는 것은 구체적으로 무엇인가? - 비용 : 예산과 시간 - 기대효과 : 효과와 이익은 무엇인가? - 실행계획 : 구체적으로 어떻게 실행할 것인가?
생각정리스킬 - 브레인스토밍 브레인스토밍의 4대 원칙 - 자유로운 분위기를 유지한다. - 질보다는 양이 중요하다. - 비판하지 않는다. - 결합과 개선을 통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낸다. 브레인스토밍 인원구성(6~12명) - 회의진행자 - 발표한 내용을 기록할 사람 - 아이디어 발표자 브레인스토밍 진행단계 1) 오리엔테이션 : 주제선정 및 정보수집 - 문제, 목표, 방법과 해결책 - 개별 아이디어 목표치 제시 2) 개별발상 : 아이디어 정리 3) 집단토론 4) 평가 브레인스토밍 정리방법 - 마인드맵을 그리자 - 포스트잇을 붙이자
초보 팀장이 저지르는 다섯가지 실수 언젠가 다시 팀장이 되면 써먹어야겠다. 1. 연습되지 않은 피드백- 자신의 기준으로만 피드백을 할 경우 팀원의 눈높이에 맞추지 못한다. 2. 일회성 피드백- 피드백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3. 개인에 치우친 문제해결- 문제를 개인 단위로 해결하려는 경향이 있다.- 팀원 개개인을 만나면서 노력하지만, 근본적인 이슈는 해결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구조적 문제)- 팀 회의 없이 개인별 미팅만 하다보면 팀원들은 각자 다른 생각을 가질 수 있다. 4. 단기 성과에 대한 욕심- 앞선 의욕에 단기성과에 집착한다.- 관행적인 업무 및 성과창출에 장애가 되는 것들을 없애는 것부터 시작하는 것에 좋다. 5. 인풋 중심의 관리 : 마이크로 매니징- 관리자는 기본적으로 팀원들이 자신의 관리와 통제범위에 있기를 바란다...